무아無我에 대한 소고小考 1 깨달음해피스님 181114_

무아無我에 대한 소고小考 1 깨달음해피스님 181114

내 정신 속에서 찾아야 합니다. 내 정신의 핵심은 과거 기억입니다. 나의 과거 기억과 죽음, 욕망의 문제를 하나씩 찾아서 이해해 나가기 시작하면, 어느 날부터 머릿속 불안과 고통은 현저하게 줄어듭니다. 한편, 혜민 스님은 강연에서 앎 즉 아는 그것이 바로 나라고 설명하였는데, 앎 즉 지(知)는 ñāṇa입니다. 이때, 식(識)은 ñāṇa와 구분되는 것으로의 viññāṇa입니다.

무아(無我)에 대한 소고(小考) – 1.깨달음(해피스님

  • 나의 과거 기억과 죽음, 욕망의 문제를 하나씩 찾아서 이해해 나가기 시작하면, 어느 날부터 머릿속 불안과 고통은 현저하게 줄어듭니다.
  • 하지만, 생각에 빠지지 않는 수행을 지속하면서 생각을 관하는 힘이 강해져 생각과의 동일시가 없어지면, 그 생각을 하는 者가 없이 생각은 그저 조건에 따라 일어나는 것으로 알아집니다.
  • 모두가 행복한 인터넷문화를 만들기 위한 네이버의 노력이오니 회원님의 양해와 협조 부탁드립니다.
  • 진실은 ‘익숙함’에 의해 판단되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나는 삶과 죽음 사이에 다리를 놓고, 죽음 뒤의 사후세계를 알고 싶어 합니다. 하지만, 생각은 없지만 알아차림은 있는 상태는 많은 불교 니까야 문헌에서 찾을 수 있다. 초기불교에서는 색계 4선 중에서 1선정에서 심사(尋伺)라는 생각 작용이 있지만, 2선정 이후에는 심사 작용이 사라진다고 한다. 그래서 이걸 실제(實際)가 아닌 관념(觀念) 또는 허상(虛相)이라 표현한다. 진짜 ‘나’가 아니라는 말이다.

생명이 끊기는 것에 대한 공포와 불안이 내세를 만든 것입니다. 생각이 불안을 만들고, 고통을 확대합니다. 삶과 생활은 내 통장, 가족관계, 내 소유, 내 명예가 지속되는 관계입니다. 그런데 죽음은 이 모든 관계가 하루아침에 절벽처럼 뚝 끊기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2009년 6월 30일 네이버 여행 서비스가 종료되었습니다. 네이버 여행 서비스를 이용해 주신 여러분께 감사드리며, 더 좋은 서비스로 보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누군가 깨어났으니 당신도 깨어납니다. 깨달음에는 종교와 신비가 필요 없습나다. 당신을 자유롭게 하는 유일한 길입니다.

악성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파일입니다.

각각의 개별적인 대상들의 관점에서 그것들의 고유한 존재성, 즉 존재라고 할 만한 그 무엇도 없다는 의미다. 며칠 전에 명망 있는 한 스님이 TV에 나와 불자들과 일문일답을 나누는 것을 보았습니다. 스님은 무아에 대한 깨달음은 부처님이나 가능한 일이지, 일반인은 감히 범접할 수 없다 했습니다. 무아와 깨달음, 실제로 그렇게 어려운 일일까요? 어떤 해설에도 이렇게 번역하지 않고 “진여(眞l如)임을 뜻하다, 여여(如如)하다는 뜻이다”라고 번역하고 있다.

내가 실재(實在)하고 자아가 있는 줄 알았지, 내가 실체로 존재하는 줄 알았다. 있기는 있어, 하지만 실제로 있는 게 아니다. 이것과 저것의 관계성(연기) 속에 의지해서 있기 때문이다. 무아는 말 그대로 ‘나라고 할 그 무엇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의미다’ 다른 숨겨진 의미가 있지 https://bauhutte-g.com/kr-57 않다.

‘제법무아'(諸法無我) 진정한 ‘나’를 찾아서, 뜻과 의미.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보고, 듣고, 느끼고 경험한 기억(記憶)의 총합(總合)이 들어있다. 우린 이걸 ‘나’라고 생각한다. 그러니까 이건 완전히 정보(情報)의 집합(集合)일 뿐, 기억의 총합일 뿐, 이다는 말이다.

마음속 불안과 고통의 기억은 나 자신의 과거 기억 속에서 찾아내야 합니다. 나만 죽지 않으려는 생각은 생명에 대한 집착일 뿐입니다. 생명에 대한 무의식적 본능입니다. 죽음의 문제도 관찰과 이해로 충분히 해소되는 문제입니다.

“나는 생각일 뿐이다”라고 말한다. 깨달음과 관련된 공부를 하다 보면 항상 자주 사용되는 용어가 있다. 그중에서 특히 핵심적인 단어가 ‘비이원’과 불교에서 자주 쓰이는 ‘무아’라는 단어다. 그런데 사실 이 두 용어는 표현의 관점이 다른 같은 뜻을 가지고 있다. 둘째는 희망이라 각색된 마음속 욕망 때문입니다.’장래에 무엇이 되겠다, 성공하겠다, 명성을 성취하겠다, 재산을 모으겠다’는 생각들이 나의 마음속에 끝없이 욕망의 에너지를 부추깁니다. 욕망은 죽는 날까지 내 마음속에서 끓어 오르는 용암입니다.

그 속에는 어떤 불안도 공포도 없습니다. 먼저 무아에 대한 깨달음은 왜 어려운 일일까요? 그리고 그것은 언제, 어떻게 깨우쳐 질까요? 마지막으로 무아가 깨우쳐지면, 어떤 유익함이 있는 것일까 하는 문제입니다.

그 후 나의 머릿속은 놀라운 변화가 나타납니다. 생각이 정지되고, 고요와 정적을 자주 경험하게 됩니다. 이 고요와 정적이 처음에는 몇 시간, 며칠을 거듭되다, 나중엔 나중엔 생활화됩니다. 머릿속이 텅 비인 상태 속에서, 저녁에 밖에 나가 소슬히 불어오는 바람을 맞아 보십시오. 그 상태 그대로 음악을 듣거나, 밖에 나아가 ‘있는 사실 그대로의 세상’을 바라보십시오.

Leave a Comment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Scroll to Top